티스토리 뷰

4과목. 정보통신개론 - 3. 정보전송 기술
산업인력공단 시행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이론 정리

 

 2020.1.1. ~ 2022.12.31. 출제 기준에 맞게 정리하였으며, 여러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지만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이 자료는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고 실제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모의고사 문제집 위주로 풀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정보이론

 

(1) 통신용량, 통신속도

 

① 정보의 전송

- 전화 : 아날로그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 모뎀 : 디지털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 코덱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 DSU(Digital Service Unit) : 디지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② 전송속도

- 변조 속도

‧ 1초가 몇 번의 변조가 이루어졌는가를 표시

‧ 단위 : 보(Baud)

- 데이터 신호 속도(데이터 통신)

‧ 1초간 비트가 얼마나 전송되었는가를 표시

‧ 단위 : bps(Bit per second)

- 데이터 신호속도(bps) = 변조 속도(Baud) × 한번의 변조로 전송 가능한 비트수(bit)

 

 

(2) 확산통신

 

① 스펙트럼 확산 통신(대역 확산 통신,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 정해진 하나의 주파수로 신호를 보내는 통신방식과 달리 보내고자 하는 신호를 잘게 분할하여 넓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산시켜 통신하는 방식

- 실제 필요한 대역의 수백배에서 수천배의 대역으로 변조하여 전송하는데 전파 중에 가해진 간섭이나 잡음은 확산 부호와 상관없기 때문에 확산 복조 시에 배제

- 이로 인한 확산 복조 후의 신호 대 잡음비(S/N)의 개선을 얻음

 

 

2. 전송 및 변조방식

 

(1) 전송방식

 

① 직렬 및 병렬 전송 방식

- 직렬 전송 방식

‧ 하나의 전송선을 통해서 한 비트씩 순서대로 전송

‧ 대부분의 데이터 전송에서 사용되는 방식

‧ 전송 에러가 적고 원거리 전송에 적합하며 회선 설치 비용이 저렴

‧ 전송속도가 느린 단점

- 병렬 전송 방식

‧ 여러 개의 전송선을 통해 각 비트들을 동시에 전송

‧ 단위 시간에 대량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전송 가능

‧ 전송 길이가 길어지면 에러 발생 가능성이 높고 회선 설치 비용이 큼

② 비동기식 및 동기식 전송 방식

- 비동기식 전송 방식

‧ 스타트 비트에 의해 한 문자 단위로 동기가 이루어짐

‧ 각 문자는 앞에 1개의 스타트 비트와 뒤에 1, 1.5, 2개의 스톱 비트를 가짐

‧ 각 문자는 일정하지 않은 휴지기간이 있으며 각 문자는 5~8비트로 구성

‧ 문자와 스톱 비트 사이에 패리티 비트를 두어 수신측에서 오전송 여부 판별

‧ 전송 효율이 나쁘고 주로 단거리에서 이용

- 동기식 전송 방식

‧ 여러 문자를 하나로 묶어 블록 단위로 전송

‧ 스타트나 스톱 비트 없이 제어용 추가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한 묶음으로 구성되는 문자들 사이에 휴지기간이 없음

‧ 전송 효율이 좋고 주로 원거리 전송에 이용

‧ 타이밍 신호는 변복조기 및 터미널 등에 의해 공급

 

 

③ 통신 방식의 종류

- 단방향 통신 방식 : 2선식 회선을 이용, 송수신자가 고정, 항상 한방향으로만 전송(TV)

- 반이중 통신 방식 : 2선식 회선을 이용, 양방향 통신 가능, 동시 전송 불가(무전기)

- 전이중 통신 방식 : 4선식 회선 이용, 양방향으로 동시에 전송 가능(전화)

④ 회선접속 방식

- Point To Point 방식

‧ 중앙의 컴퓨터와 단말기가 독립적인 회선으로 일대일로 연결

‧ 전용 회선이 여기에 해당하며 전송량이 많을 때 유리하고 고장시 보수가 용이함

- Multi Point 방식

‧ 1개의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기가 연결된 형태

‧ 통신 회선을 공유하므로 통신 규약이 필요하고 고장시 보수가 어려움

‧ 통신 회선을 공유하므로 속도가 다소 느려질 수 있음

- 혼합 회선

‧ 포인트 투 포인트와 멀티포인트 방식을 혼합

‧ 다중회선을 가지고 있고 각 회선에는 여러 개의 장치들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합

 

 

(2) 변조방식

 

① 아날로그 변조 : 아날로그 데이터 → 아날로그 신호

- 아날로그 데이터를 같은 대역폭의 아날로그 신호로 바꿈

- 진폭 변조(AM), 주파수 변조(FM), 위상 변조(PM)

② 디지털 변조 : 디지털 데이터 → 아날로그 신호

- 진폭 편이 변조(ASK)

‧ 2개의 2진수 값을 서로 다른 진폭을 가진 신호로 표현

‧ 광섬유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

‧ 회로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한 반면 잡음이나 신호의 변동에 약함

- 주파수 편이 변조(FSK)

‧ 2개의 2진수 값을 서로 다른 주파수로 표현

‧ 진폭 편이 변조보다 에러에 강하고 회로도 비교적 간단하여 데이터 전송에서 많이 사용

- 위상 편이 변조(PSK)

‧ 반송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 데이터를 표현

‧ 동기식을 사용하며 모뎀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

‧ 위상을 달리함으로써 복잡도가 높은 데이터 전송률이 높아짐

③ 펄스부호 변조(PCM) : 아날로그 데이터 → 디지털 신호

‧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으로부터 코드화된 디지털 신호를 만드는 변조 방식

‧ 전송레벨 변동이 없고 누화와 잡음에 강하나, 점유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큼

‧ PCM과정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PDF 다운받기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이론-4과목.pdf
0.28MB

PDF파일은 4과목 전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