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2018년 2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 문제

데이터통신 과목



[모바일은 가로보기에서 최적화되었습니다]


81. 맨체스터(Manchester) 코딩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이진신호 0의 경우, 비트구간의 시작지점에 존재

② 이진신호 0의 경우, 비트구간의 오른쪽 1/2지점에 존재

③ 이진신호 1의 경우, 이전 비트구간의 역상

④ 이진신호 0의 경우, 비트구간의 왼쪽 3/4지점에 존재


82.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의 링크 구성 방식에 따른 세 가지 동작모드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PAM     ② NRM

③ ARM     ④ ABM


83. 변조속도가 1500[baud]이며 트리비트를 사용하는 경우 전송속도(bps)는?

① 2400     ② 3200

③ 4500     ④ 6000


84. Go-Back-N ARQ에서 7번째 프레임까지 전송하였는데 수신측에서 6번째 프레임에 오류가 있다고 재전송을 요청해 왔다. 재전송되는 프레임의 개수는?

① 1     ② 2     ③ 3     ④ 4


85. IPv6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더 많은 IP주소를 지원할 수 있도록 주소의 크기는 64비트이다.

② 프로토콜의 확장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③ 확장 헤더로 이동성을 지원하고, 보안 및 서비스 품질 기능 등이 개선되었다.

④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를 지원한다.


86. 패킷교환망에 접속되는 단말기 중 비패킷형 단말기(Non-Packet Mode Terminal)에서 패킷의 조립·분해 기능을 제공해 주는 일종의 어댑터는?

① GFI      ② PTI

③ SVC     ④ PAD


87. 부정적 응답에 해당하는 전송제어 문자는?

① NAK(Negative AcKnowledge)

② ACK(ACKnowledge)

③ EOT(End of Transmission)

④ SOH(Start of Heading)


88. LAN의 방식 중 “10Base-T”의 10 이 의미하는 것은?

① 케이블의 굵기가 10㎜이다.

②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Mbps이다.

③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의 수가 10대이다.

④ 배선할 수 있는 케이블의 길이가 10m이다.


89. IP(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비연결 프로토콜이다.

② 최선의 노력(Best Effort) 원칙에 따른 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③ IP 패킷이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송신된 순서와 다르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

④ IP 패킷에서 헤더 체크섬은 제공하지 않고, 데이터 체크섬만을 제공한다.


90.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인터페이스     ② 구문

③ 의미              ④ 타이밍


91. 라우팅 프로토콜인 OSPF(Open Shortest Path Fir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네트워크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② 최단 경로 탐색에 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③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

④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한다.


92. 데이터 전달을 위한 회선 제어 절차의 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데이터 링크 확립 → 회선 연결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링크 해제 → 회선 절단

② 회선 연결 → 데이터 링크 확립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링크 해제 → 회선 절단

③ 데이터 링크 확립 → 회선 연결 → 데이터 전송 → 회선 절단 → 데이터 링크 해제

④ 데이터 전송 → 회선 절단 → 회선 연결 → 데이터 링크 확립 → 데이터 링크 해제


93. 실제 전송할 데이터를 갖고 있는 터미널에게만 시간슬롯(Time Slot)을 할당하는 다중화 방식은?

① 디벨로프 다중화

② 주파수 분할 다중화

③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④ 광파장 분할 다중화


94. QPSK 변조방식의 대역폭 효율은 몇 [bps/Hz]인가?

① 2     ② 4     ③ 8     ④ 16


95. TCP/IP 프로토콜에서 TCP가 해당하는 계층은?

① 데이터 링크 계층     ② 네트워크 계층

③ 트랜스포트 계층      ④ 세션 계층


96.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한다.

② 최대 홉 카운트를 115홉 이하로 한정하고 있다.

③ 최단경로탐색에는 Bellman-Ford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④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다.


97. OSI 참조모돌에서 전이중방식이나 반이중방식으로 종단 시스템의 응용 간 대화(dialog)를 관리하는 계층은?

① Data Link Layer

② Network Layer

③ Transport Layer

④ Session Layer


98. 채널용량이 100Kbps이고 채널 대역폭이 10kHz일 때 신호대잡음비(db)는?

① 124       ② 423

③ 1023     ④ 4056


99. IEEE 802.3 LAN에서 사용되는 전송매체 접속제어(MAC) 방식은?

① CSMA/CD       ② Token Bus

③ Token Ring     ④ Slotted Ring


100. 패킷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패킷길이가 제한된다.

② 전송 데이터가 많은 통신환경에 적합하다.

③ 노드나 회선의 오류 발생 시 다른 경로를 선택할 수 없어 전송이 중단된다.

④ 저장-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 내용 중 오류가 있는 경우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