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포트란

[FORTRAN] 변수명 규칙과 대입문

아이티안 2018. 10. 19. 12:00

 변수란 컴퓨터의 입장에서는 단지 기억장소를 말합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기억장소의 할당이 되겠지요. 변수명이란 기억장소의 이름을 말합니다. 변수명은 변수명의 규칙에 맞게 만들어서 사용해야 합니다.


* 포트란의 변수명 규칙

1. 첫글자는 반드시 영문자로 시작해야 한다

2. 두번째 글자부터는 영문자 또는 숫자로 구성할 수 있다

3. 변수명의 최대길이는 6자이다

4. 특수문자와 포트란 명령어는 사용할 수 없다



* 잘못된 변수명 예시

3AB          → 첫글자가 숫자로 시작됨

A#B          → 특수문자가 포함되었음

READ        → 포트란 명령어는 사용할 수 없음

ABCDEFG   → 최대 길이인 6자를 초과하였음


 변수의 종류에는 묵시적 변수와 명시적 변수가 있습니다. 묵시적 변수란 기본적으로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변수를 말하는데 정수형과 실수형이 있습니다.


- 정수형 변수 : 변수명의 첫글자가 I, J, K, L, M, N 중에 하나로 시작되는 변수입니다. 입력 가능한 숫자의 범위는 -32768 ~ +327689인데 이는 컴파일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므로 사용하는 컴파일러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실수형 변수 : 변수명의 첫글자가 I, J, K, L, M, N 이외의 알파벳으로 시작되는 변수입니다.



 명시적 변수는 형(Type) 선언문에 의하여 만들어진 변수를 의미합니다. 형 선언문에는 INTEGER(정수형), REAL(실수), COMPLEX(복소수형), DOUBLE PRECISION(배정도형), CHARACTER(문자형), LOGICAL(논리형) 등이 있습니다.


 계속해서 대입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입문은 간단합니다. = 기호 왼쪽에 있는 변수에 오른쪽에 있는 특정 값을 기억시키는 명령입니다.


변수 = 수 또는 수식 : 수 또는 수식의 값을 = 기호의 왼쪽 변수에 기억시킨다

1
2
= 100 - 변수 I에 100을 기억
= 100 + 200 - 변수 J에 100+200의 결과인 300을 기억
cs



변수 = 변수 또는 변수식 : 변수 또는 변수식의 값을 = 기호 왼쪽 변수에 기억시킨다

1
2
3
4
= 100
= 100 + 200
= I - 변수 K에 I의 값인 100을 기억
= J + K - 변수 L에 J값과 K값의 합인 400을 기억
cs


변수 = '문자열' : 변수에 문자열을 기억시킨다

먼저 문자변수의 형 선언문인 CHARACTER문으로 변수를 선언한 후에 기억시켜야 합니다.

1
2
3
CHARACTER A*3, B*5 - 길이가 각각 3과 5인 문자변수 A, B를 선언
= 'ABC' - 변수 A에 ABC를 기억
= 'KOREA' - 변수 B에 KOREA를 기억
cs


 이상으로 간단하게 포트란의 변수명과 대입문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포트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TRAN] 간단한 비정형 출력문과 END문  (0) 2018.10.21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