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를 의미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논리적으로 적절하게 배치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를 정보의 구조화라고 합니다. 정보의 구조화를 위해서는 수집하고 분석한 자료들을 글, 그림, 도표 등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수집된 정보의 유형에 따라 표현하기 용이한 구조화 기법이 다릅니다.

1.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이란 기호나 선 등을 이용하여 정보 간의 관계나 구조 등 다양한 내용을 전달하는 그림으로 정보를 시각화하는 기술입니다. 흔히 말하는 개체관계도, 순서도 등의 개념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다이어그램의 목적은 정보의 전달에 있습니다.
다이어그램은 표현 내용에 따라 비교 통계 다이어그램(도표, 그래프 등), 기구 계통 다이어그램(조직도, 계통도 등), 기능 및 해부 다이어그램(기상도, 구조도, 해부도 등), 행사 예정 및 일람표(예정도표), 통계 지도 및 장식 지도(노선 안내도) 등이 있습니다.

2. 하이라키 기법
하이라키(Hierarchy)는 계층구조를 의미하는데 각각의 정보들이 부모-자식 관계를 갖는 구조화된 형태를 말합니다. Depth 또는 Level이라는 말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어찌 보면 다이어그램의 일부라고 할 수도 있겠네요. 흔히 볼 수 있는 가계도 같은 것도 여기에 속합니다.
생물이라는 주제를 분류하여 식물/동물로 나눌 수 있고 이를 하위 계층으로 구분지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식물은 양치식물, 겉씨식물, 속씨식물 등으로 다시 분류되고, 동물은 척추동물, 무척추동물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3. MECE
MECE는 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의 약자로 항목들이 상호 배타적이어서 모든 항목을 합쳤을 때는 어떠한 속성의 전체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겹쳐지지 않으면서 빠짐없이 구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정보 구조화 기법이라기 보다는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적 사고 기법입니다.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에서 사용하면서 유명해진 기법이라고 하네요.
그럼에도 이 방식이 정보 구조화에 사용하기에 좋은 특징이 있습니다. 문제점 도출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요. 문제점을 도출한 이후에 이를 비슷한 내용끼리 묶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MECE 사고방식인 이슈트리로 정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어느 기업에서 매출 부진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할 때, 이것이 시장의 문제인지, 영업팀의 대응 부재인지, 제품 자체의 결함인지 명확히 중복없이 구분해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서비스의 전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한 문서를 IA(Information Architecture)라고 합니다. IA를 잘 작성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사고가 필요합니다. IA는 앞으로 만들어질 최종적인 서비스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작성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초기 개발 단계에서는 포함되지 않은 기능을 나중에 추가할 필요가 생길 수 있습니다. 미리 IA 단계에서 이 부분을 고려하여 코멘트를 작성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IA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기능들을 구체적으로 리스트업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리스트를 작성할 때는 실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관리자 페이지까지 고려해야 한다네요. 기능 리스트업이 끝나면 해당 기능들을 토대로 구조화를 시작합니다.
'SW Test | 기획 |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 워터폴(Waterfall) vs 애자일(Agile) (0) | 2023.01.04 |
---|---|
웹 사이트의 계층 구조 이해 (0) | 2022.12.28 |
SW Test - 테스트 설계 기법 (0) | 2020.06.07 |
SW Test - Test Case란? (0) | 2020.06.05 |
SW Test - 다양한 검증 방법(2) (0) | 2020.06.03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