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남들이 올려 놓은 글을 몰래 복사해서 이용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 때문에 어렵게 작성한 포스팅이 도난 당하지 않으려면 최소한의 장치를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드래그방지 소스코드를 삽입하는 것도 그 중 하나일 것입니다. 앞선 포스팅에서는 워드프레스에서 코드를 삽입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는데요, 이번에는 구글의 블로거에서 코드를 넣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드래그방지 소스코드 추가하기
드래그방지 코드는 CSS에 추가해주어야 적용이 됩니다.
1. 먼저 블로거에 로그인합니다.
![[테마] > [내 테마] 에서 [맞춤설정]을 클릭한다](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2. 좌측 메뉴에서 [테마]를 클릭하면 우측에 [내 테마]가 나타나고 그 아래에 [맞춤설정▼]이 나오는데 [맞춤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고급] > [CSS 추가] 아래에 코드를 삽입한다](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3. [고급] > [CSS 추가] 를 선택합니다.
4. 그 아래에 소스코드를 추가하고 저장을 눌러줍니다.
마우스 우클릭금지 소스코드 추가하기
![[테마] > [맞춤설정▼] > [HTML 편집]을 클릭한다](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1. 좌측 메뉴에서 [테마]를 클릭하면 우측에 [내 테마]가 나타나고 그 아래에 [맞춤설정▼]이 나오는데 옆의 세모(▼)모양을 클릭 후 메뉴에서 [HTML 편집] 을 선택합니다.

2. 여기서 소스코드를 편집할 수 있는데요, </body> 바로 위쪽에 소스코드를 추가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꺽쇠(< >)를 문자 그대로 입력하면 인식이 안 됩니다. &로 시작하는 특수코드로 변환된 소스를 입력하여 주어야 합니다(좌측은 < 우측은 >).
이렇게 간단하게 블로그스팟(블로거)에서 테마를 편집하여 불펌금지 코드를 넣는 방법을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블로그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드프레스 드래그방지 우클릭방지 (불펌방지) 코드 넣는 방법 (0) | 2023.11.15 |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