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커피협회 주관 바리스타2급 필기 모의고사 2회

 

 

바리스타2급 필기 모의고사2회.pdf
0.27MB

 


 

1. 외부로의 반출이 엄격히 통제되고 있던 상황에서 커피 묘목을 몰래 훔쳐 인도네시아에서 커피를 재배함으로써 대규모 커피 재배의 역사를 연 나라는?

① 네덜란드 ② 포르투갈 ③ 영국 ④ 프랑스

 

2. 다음 커피에 대한 식물학적 내용 중 맞는 것은?

① 아라비카 종은 염색체의 개수가 44개이다.

② 아라비카 종은 타가수분, 로부스타 종은 자가수분을 한다.

③ 연분홍색의 커피 꽃은 높이가 1cm 정도이며, 재스민을 닮은 달콤한 향기를 가지고 있어 ‘아라비아의 재스민’으로도 불린다.

④ 꽃잎은 아라비카 종 4장, 로부스타 종 5장, 리베리카 종 7장인데, 꽃이 핀 지 2-3일이면 져버린다.

 

3. 커피나무의 열매를 형태학적으로 분류하면 어떤 종류에 속하는가?

① 장과(漿果) ② 견과(堅果) ③ 핵과(核果) ④ 건과(乾果)

 

4. 커피는 단계별 명칭이 매우 다양한데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커피의 열매 - Coffee cherry

② 원두를 분쇄한 것 - Ground coffee

③ 커피 열매의 정제된 씨앗 - Green bean

④ 커피 씨앗을 건조시킨 것 - Whole bean

 

5. 다음에서 설명하는 품종은?

브라질에서 발견된 티피카(Typica)의 돌연변이종으로 다른 아라비카 계통의 품종에 비해, 잎, 체리, 생두가 모두 커서 흔히 코끼리 콩(Elephant bean)이라 부르기도 한다. 브라질, 멕시코, 니카라과 등지에서 재배된다.

① 피베리 ② 마라고지페 ③ 롱베리 ④ 파카스

 

ⓒ Pixabay

 

6. 다음 몬순커피(Monsoon coffe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독특한 향미와 강한 바디(Body)를 느낄 수 있다.

② 신맛이 강해지고 단맛은 적게 느껴진다.

③ 유명한 몬순 커피는 인도의 말라바르(Malabar)이다.

④ 생두를 계절풍에 약 2-3주 정도 노출시켜 향미의 변화를 준다.

 

7. 다음 중 아라비카 종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대체로 해발 800m 이하의 저지대에서 잘 재배된다.

② 카리브 해, 중남미, 서부 아프리카 등지에서 생산된다.

③ 대체로 풍부한 신맛과 고급스런 향을 지녔다.

④ 에티오피아가 원산지이며 고온 다습한 지대에서 잘 재배된다.

 

8. 다음 중 커피 종자를 계량하는 목적으로 옳은 것은?

가. 단위면적당 많은 생산량을 얻기 위한 목적

나. 키가 큰 커피나무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

다. 병충해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

라. 소규모 재배를 쉽게 하기 위한 목적

① 가, 나 ② 가, 다 ③ 나, 다 ④ 다, 라

 

9. 다음 중 ‘세이드 그로운 커피(Shade-grown coffe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커피 종자를 삼베, 포, 짚 등으로 덮어 그늘을 유지하였다.

② 작은 커피 묘목의 일조량을 조절하기 위해 그늘막을 설치하였다.

③ 커피나무의 일조량을 줄이기 위해 키 큰 나무의 그늘 아래에서 재배되었다.

④ 커피나무의 개량 및 다수확을 목적으로 일정기간 그늘막을 설치하였다.

 

10. 다음 커피 재배에 관한 내용 중 맞는 것은?

① 커피의 성장에는 유기질이 풍부한 화산성 토양이 적당하다.

② 커피 씨앗이 발아하는 데는 보통 5-10일이 걸린다.

③ 발아 후 2-3개월 경과한 시점에 건강 상태가 양호한 나무들을 골라 옮겨 심는다.

④ 커피는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재배지에 직접 파종한 후 성장시켜 열매를 수확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11. 다음은 커피 가공방식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커피체리 수확 후 껍질을 제거하여 곧바로 건조시켜 커피의 점액질이 그대로 생두에 흡수되어 풍부한 단맛을 형성하게 하는 가공방법을 ( )이라 하며, 주로 ( )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생산량이 늘고 있는 가공법이다.

① 펄프드 내추럴, 브라질 ② 펄프드 내추럴, 인도네시아

③ 세미 워시드, 인도네시아 ④ 건식법, 브라질

 

12. 다음 중 커피나무의 재배에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파종 방법은?

① 직파 ② 파치먼트 파종 ③ 접목(Grafting) ④ 조직배양

 

13. 커피체리를 수확한 후 과육을 제거하는 과정을 펄핑(Pulping)이라고 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펄퍼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로터리 펄퍼(Rotary Pulper)

② 디스크 펄퍼(Disk Pulper)

③ 스크린 펄퍼(Screen Pulper)

④ 드럼 펄퍼(Drum Pulper)

 

14. 다음 건조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체리나 파치먼트의 수분함량을 20% 이하로 낮추는 과정이다.

② 습식법은 건식법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간이 짧다.

③ 건조를 위한 파티오(Patio)는 콘크리트, 아스팔트, 자갈밭, 모래 등으로 만들어진다.

④ 건조 가공 후 보관은 습식법과 건식법 모두 파치먼트 상태로 보관한다.

 

15. 다음 중 수확기간 경과에 따른 생두의 분류 명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뉴 크롭(New crop) ② 패스트 크롭(Past crop)

③ 니어 크롭(Near crop) ④ 올드 크롭(Old crop)

 

ⓒ Pixabay

 

16. 다음 중 좋은 생두를 감별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밀도가 낮을수록 향미가 풍부하다.

② 생두의 적정 수분함량은 15-20%이다.

③ 결점두 함량은 생두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④ 수확한 지 최소 1년이 지난 생두는 숙성되어 품질이 좋다.

 

1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커피 생산 국가는?

나라는 작지만 일정의 커피를 생산하는 커피 재배국가로서 커피재배의 최적의 조건인 화산암이 잘 발달되어 있다. 주로 습식법을 사용하고, 대표적인 커피로는 ‘따라주(Tarrazu)’를 꼽을 수 있다. 특히 로부스타 종의 재배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① 과테말라 ② 파나마 ③ 니카라과 ④ 코스타리카

 

18. 생산된 커피는 나라마다 정한 일정기준에 따라 분류가 이루어지는데 다음 중 그 분류가 잘못된 것은?

① 멕시코 : SHG ② 콜롬비아 : Supremo

③ 에티오피아 : Grade1 - Grade8 ④ 브라질 : No.1 - No.6

 

19. 다음 중 디카페인 커피의 제조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용매 추출법 ② 물 추출법 ③ 증류 추출법 ④ 초임계 추출법

 

20. 커피 생산국마다 수확 기준 일자가 달라 통계자료에 혼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ICO에서는 ‘Coffee year’를 정해 산정일자를 통일시키고 있다. 다음 중 ‘Coffee year’의 산정 기준 일자는?

① 1월 1일 ② 4월 1일 ③ 10월 1일 ④ 12월 1일

 

 

21. 우유를 가열하면 단백질 성분에 의해 어떤 물질이 발생되어 휘발되면서 가열취와 이상취를 만들게 된다. 그 원인이 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① 산소 ② 질소 ③ 탄소 ④ 황화수소

 

22. 다음 중 우유 단백질에 속하는 성분이 아닌 것은?

① 카세인 ② 오브알부민 ③ 베타-락토글로블린 ④ 락토페린

 

23. 커피 생두의 신선도와 보관성을 높이기 위한 보관창고의 환경으로 맞는 것은?

① 가능한한 다습한 곳을 피하고 상온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② 생두의 햇볕 노출을 최대화할 수 있는 시원한 곳이 좋다.

③ 생두가 건조하지 않도록 충분한 습기를 보유한 곳이 좋다.

④생두가 곰팡이와 각종 세균의 번식에 노출되지 않도록 직사광선이 강한 곳이 좋다.

 

24. 다음 중 커피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거리가 것은?

①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정신을 맑게 한다.

② 위를 자극하여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③ 이뇨제 역할을 하여 소변의 양을 증가시킨다.

④ 심장의 수축력과 심장박동수를 감소시켜 진정의 효과를 낸다.

 

25. 카페에서 유리잔을 포함한 식기 세척 시, 가장 위생적인 순서는?

① 비눗물 → 찬물 → 더운물

② 더운물 → 비눗물 → 찬물

③ 비눗물 → 더운물 → 찬물

④ 찬물 → 비눗물 → 더운물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