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커피협회 주관 바리스타2급 필기 모의고사 2회

 

 

바리스타2급 필기 모의고사2회.pdf
0.27MB

 


 

26. 생두를 풀시티(Full-city) 이상으로 로스팅했을 때 원두의 수분 함량에 가장 가까운 것은?

① 약 1% ② 약 5% ③ 약 7% ④ 약 9%

 

27. 로스팅 과정에 따른 변화 및 관련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프렌치 로스트는 원두가 계피색을 띠며 신맛이 뛰어나다.

② 생두가 열을 계속 흡수하면 조직이 수축하고 색상은 푸른색으로 변한다.

③ 생두의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유기산 등은 화학반응을 일으켜 커피의 맛과 향기 성분으로 변화된다.

④ 일반적으로 맛을 강조하는 강한 커피를 원하면 약하게 로스팅하고 맛의 미묘한 변화와 감미로운 향미의 조합을 원한다면 강하게 로스팅한다.

 

28. 다음 중 로스팅 8단계 가운데 가장 강한 로스팅 단계는?

① 풀시티 로스트(Full-city Roast) ② 프렌치 로스트(French Roast)

③ 이탈리안 로스트(Italian Roast) ④ 미디엄 로스트(Medium Roast)

 

29. 다음 중 로스팅에 관한 살명으로 맞는 것은?

① 로스팅 중 발생하는 모든 기체는 탄산가스 계열이다.

② 로스팅은 일반적으로 열에 의한 생두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뜻한다.

③ 로스팅시 색이 변하는 주된 원인은 환원 반응이다.

④ 로스팅 시 열원의 종류에 따라 향미 변화를 줄 수는 없다.

 

30. 커피 로스팅 과정이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① 냉각 → 열분해 → 건조

② 건조 → 냉각 → 열분해

③ 열분해 → 건조 → 냉각

④ 건조 → 열분해 → 냉각

 

ⓒ Pixabay

 

3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일부 로스팅 머신에 부착되어 있고, 주로 드럼 내부의 공기 흐름을 주절하고 또한 드럼 내부의 열량을 조절하며 은피를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① 댐퍼 ② 호퍼 ③ 쿨러 ④ 버너

 

32. 다음 중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효소적 갈변화 반응이다.

② 탄수화물을 가열하면 일어나는 반응이다.

③ 멜라노이딘이 형성되어 갈색을 띠게 되는 반응이다.

④ 캐러맬화(Caramelization)라고도 한다.

 

33. 커피 추출액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질 성분 중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은?

① 인 ② 칼륨 ③ 나트륨 ④ 칼슘

 

34. 커피의 은피(Silver skin)에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성분은?

① 클로로겐산 ② 단백질 ③ 비타민 ④ 식이섬유질

 

35. 다음 중 로스팅에 따른 맛 성분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로부스타 종은 유기산이 많아 신맛이 강하다.

② 생두의 당분, 유기산, 카페인, 무기질 등이 화학 반응하여 신맛, 단맛, 쓴맛, 떫은맛 등을 생성한다.

③ 맛 성분은 주로 가용성으로 끓는 물에서 약 1-1.5% 추출한다.

④ 일반적으로 아라비카종이 로부스타 종보다 쓴맛이 강하다.

 

 

36. 커피를 약한 화력에 너무 오래 로스팅해서 캐러멜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나타나는 향미의 결함은?

① Woody ② Green ③ Trapped ④ Baked

 

37. 다음의 설명에서 ( ) 안에 들어갈 용어로 알맞은 것은?

음식이나 음료를 섭취하거나 섭취한 후 입 안에서 물리적으로 느껴지는 감촉을 ( )이라 하며, 입 안에 있는 말초 신경은 커피의 점도와 미끈함을 감지하는데 이 2가지를 집합적으로 ( )라고 부른다.

① Flavor, Aftertaste ② Mouthfeel, Body

③ Aftertaste, Mouthfeel ④ Mouthfeel, Flavor

 

38. 다음 커피 추출기구 중 일반적으로 가장 굵게 분쇄된 원두를 사용하는 것은?

① 프렌치프레스 ② 모카포트 ③ 에스프레소 머신 ④ 이브릭

 

39. 다음은 커피 추출의 3대 원리이다.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용해 → 침투 → 분리

② 용해 → 분리 → 침투

③ 분리 → 침투 → 용해

④ 침투 → 용해 → 분리

 

40. 커피의 가용성분 중 실제로 커피에 추출된 비율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추출 수율 ② 수용 비율 ③ 추정 수율 ④ 가용 수율

 

ⓒ Pixabay

 

41. 핸드드립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원두의 분쇄 입자가 굵을수록 커피 맛은 강해진다.

② 원두가 오래될수록 커피의 향은 좋아진다.

③ 커피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커피의 신맛은 강해진다.

④ 추출 시 드립포트, 서버, 드리퍼의 종류에 따라 커피 맛이 달라진다.

 

42. 다음 중 한 잔의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 위한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것은?

① 분쇄된 커피의 양 : 7±1.0g ② 추출시간 : 25±5초

③ 추출 압력 : 9±1bar ④ 추출하는 물의 온도 : 70±5℃

 

43. 다음 중 필터를 사용하며 추출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① 사이폰 ② 이브릭 ③ 핸드드립 ④ 에스프레소

 

44. 에스프레소 머신 가동 시 포타필터(Portafilter) 보관 방법 중 맞는 것은?

① 깨끗한 테이블 위에 올려 놓는다.

② 에스프레소 머신 위에 올려 놓는다.

③ 컵 받침대에 그냥 둔다.

④ 그룹에 정착한 상태로 보관한다.

 

45. 다음 중 커피 그라인더 구성품이 아닌 것은?

① Nozzel ② Cutter ③ Hopper ④ Dosing chamber

 

 

46. 에스프레소 추출 시 분쇄 작업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커피 분쇄는 추출 직전 필요한 양만큼만 하는 것이 좋다.

② 입자 굵기는 원두 종류와 투입량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한다.

③ 추출 현상이 빠르면 입자를 가늘게, 추출 현상이 느리면 입자를 굵게 한다.

④ 바리스타는 에스프레소 추출에 알맞은 분쇄도를 자주 체크해야 한다.

 

47. 에스프레소 추출 전 실시하는 물 흘려보내기 동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머신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② 과열되어 있을 수 있는 추출수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다.

③ 드립 트레이를 씻어내어 잔 밑 부분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작업이다.

④ 그룹 헤드에 묻어 있을 수 있는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동작이다.

 

48. 에스프레소 한 잔 추출 시간이 30초 이상일 때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① 분쇄가 매우 곱게 됨

② 탬핑을 약하게 함

③ 추출 압력이 낮음

④ 기준보다 많은 양의 원두를 사용함

 

49. 에스프레소 추출 시간에 변화를 주는 요인 중 가장 영향이 큰 것은?

① 탬퍼의 무게 ② 탬퍼의 재질

③ 원두의 분쇄 입자 크기 ④ 그라인더 커팅 날의 종류

 

50. 다음 설명 중 틀린 내용을 고르시오.

① 다기는 처음에 찻물에 삶아 물을 들이는 것이 좋다.

② 다기를 손에 잡았을 때 사용하기가 편해야 하며 너무 무겁거나 가볍지 않아야 한다.

③ 다기는 자기와 사기유리 제품 등이 있는데 녹차를 우려 마시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기 제품이 좋다.

④ 차의 종류나 양 특성을 고려하여 다기의 크기와 모양을 선택하는데 흰색이나 연한색이 은근하고 소박하여 찻자리에 잘 어울린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